|
전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졸업
산동회계법인 근무(전)
대주회계법인 근무(현)
TEL.564-9277~8 |
 |
 |
매출채권에 대한 평가와 손실처리 |
저자: 신용완 |
당월호가기:333
| 날짜:2004-11-01
| 조회수:25591 |
|
<필 자 소 개> 전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졸업 산동회계법인 근무(전) 대주회계법인 근무 TEL. (02) 564-9277~8
목 차 Ⅰ. 서론 Ⅱ. 대손충당금 설정대상 채권 1. 개요 2. 대손충당금의 설정대상 채권 3. 대손충당금 설정대상에서 제외되는 채권 Ⅲ. 대손금 처리의 요건 1. 대손처리금액 및 대상 2. 세무상 대손금액 손금용인 Ⅳ. 부도어음, 수표의 대손처리 Ⅴ. 기업회계기준서상의 매출채권 평가 1. 개요 2. 매출채권의 평가
-------------------------------------- Ⅰ. ◈ 서론 --------------------------------------
매출채권은 기업이 재화나 용역을 외상으로 판매하고 그 대가를 미래에 현금을 수취할 권리를 획득하거나, 타기업에 현금을 대여하고 추후 현금을 회수하기로 하는 일종의 채권의 의미이다. 매출채권은 미래에 현금을 수취할 수 있는 청구권이므로 기간이 경과하거나 화폐가치가 변동하더라도 변화되지 않는 정액의 화폐액으로 표시되므로 화폐성자산에 속한다.
실무적으로 기업의 자금사정을 파악할 때 매출액 대비 어느 정도의 매출채권을 보유하고 있는지, 발생된 매출채권이 몇 개월 정도의 기간을 경과하여 회수하고 있는지, 또한 기 발생된 매출채권이 1년 이상의 장기채권으로 악성채권인지 여부, 연초에 공인회계사로부터 외부감사를 받는 기업들은 이러한 장기채권을 놓고서 회수가능하다, 없다로 서로 주장함으로 인하여 외부감사인과 당해 법인사이에 설전이 벌어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외부감사로 인하여 감사인이 대손 처리함으로 인하여 손익계산서상에 대손 상각비로 처리하여 당해기업의 당기순이익이 기업의 결산한 당기순이익과 외부감사 후 공시한 당기순이익이 달라져 흑자에서 적자로 전화되었다는 기사가 경제신문에서 자주 접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감사인의 대손처리는 기업회계 기준상의 대손처리이므로 해당기업의 당기순이익은 감소시키지만, 세무상 세무조정시 손금불산입 처분되어 사실상 실무상 법인세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는 기업회계기준상 대손처리와 실무상 중요한 이에 따른 세무상 문제를 동시에 검토해 보기로 한다. 또한 매출채권은 좀더 일반채권까지 포함하는 수취채권과는 다르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매출채권과 수취채권을 동일한 개념으로 보아 혼용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Ⅱ. ◈ 대손충당금 설정대상 채권 --------------------------------------
1. 개요
매출채권은 회수기간에 따라 또는 발생원천에 따라 구별된다. 회수기간에 따른 분류는 1년 이내에 회수할 수 있는 단기채권으로 대출채권, 단기대여금, 미수금, 미수수익 등이 있다. 회수기간이 1년 이후일 것으로 기대되는 장기채권은 장기성매출채권, 장기대여금, 장기미수금, 보증금 등 투자자산과 기타 비유동자산으로 분류되어 있는 수취채권으로 분류된다. ... more 한글문서
|
|
|
 |
 |
 |
 |
 |
 |
 |
본 내용은 택스 매거진에 게재된 글 입니다
택스 매거진는 매월 발행되는 정기 간행물 입니다
"새로운 세무·자세한 회계"란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30주년간 경리인들과 함께 해온 최고의 경리인 실무 길잡이 입니다
매월 1회 발행, 4X6배판, 매월180쪽
월 15,000원, 연180,000원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