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경영계획 수립 1. 경영계획 2. 연간경영계획 수립 II. 중장기 경영계획 수립 1. 원가절감 2. 품질향상과 저가정책 3. 위험분산 및 마케팅전략의 재정비 4. 재무예측능력의 향상 III. 경영계획달성을 위한 자본조달 전략 1. 자본구조결정 2. 자본조달방법 IV. 사회적 책임
Ⅰ. 경영계획 수립
1. 경영계획
(1) 정의 최근 경영환경은 경영계획의 내용과 질의 우열이 그대로 기업의 격차를 가져오는 시대이다. 왜냐하면, 경영환경이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경쟁은 치열해지고 고객 욕구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철저한 분석, 검토를 바탕으로 경영계획이 수립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업 존재의의를 정의한 것이 ‘경영이념’이고, 그 이념을 투영해서 기업이 미래에 이루고자 하는 열망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의도적인 목표의식을 갖고 기술한 것이 ‘경영비전/목표’이다. 경영비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마련된 방안들을 구체화시킨 것이 ‘중장기경영계획’이다. 이를 연간 단위로 구체화하면 ‘연간경영계획’이다.
(2) 경영계획의 필요성 설계도면 없이 건물을 짓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것처럼 기업을 경영해 나가는데 있어서 구체적 계획이 없으면 마치 선장 없는 배처럼 목적과 방향도 모른 채 파도에 이리 밀리고 저리 밀리다가 결국은 좌초하고 만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은 내부능력(강점 요인, 약점 요인)과 외부환경(기회 요인, 위협 요인)을 면밀히 분석, 평가하여 경영계획(또는 경영전략)을 세우고 이를 추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원칙적으로는 중장기경영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 연간경영계획을 작성하는 것이지만, 실무상으로는 오히려 연간경영계획을 제대로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간경영계획이 중심적 계획이 되지 못하고 중장기 계획만 그럴듯하면 그림의 떡이 되기 쉽다. 따라서 연간경영계획과 중장기경영계획은 서로 보완적이고 일관성을 유지해야만 한다. 따라서 연간경영계획을 일상적인 ‘관리수단’이 아니라, 사업 및 제품의 구조조정, 그리고 업무 프로세스와 구성원 의식을 혁신 또는 변화시키는 ‘촉진수단’으로서 전략화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연간 경영계획이 실행계획인데 중장기경영계획은 목표적 또는 지표적 성격의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중장기경영계획은 연간경영계획의 실행 결과에 따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중기경영계획은 3년, 그리고 장기계획은 5년이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연간경영계획은 각 부문별로 연차계획을 세우는 일로서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계획을 추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간경영계획은 업적평가의 기준이 되는 것이며 또한 행동의 지침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간경영계획이 제대로 수립, 실행될 때 중장기경영계획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경영비전/목표, 그리고 경영이념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만큼 연간경영계획은 그 어떤 경영계획보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