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M&A 회계와 세무 1. 합병 2. 분할·분할합병 3. 주식인수 4. 영업양수도 Ⅲ. 기업의 M&A 실사례 1. 한섬과 타임아이엔씨의 합병 2. ㈜IHQ와 (주)싸이더스HQ의 합병 3. 데이콤의 파워콤 인수 4. 우성넥스티어 (우성식품과 넥스티어의 합병) 5. 외환은행의 론스타 자본유치 6. 대우자동차의 폴란드 FSO사 인수 7. 대우중공업의 망갈리아 조선소 인수 8. 삼성전자의 럭스사 인수 9. 삼성전자의 HMS 인수 10. 삼성코닝의 독일 FGT사 인수 11. 하나로통신의 외자 유치 12. 대상의 라이신 매각 13. 두산음료의 합병과 매각 14. 한솔제지의 자산 매각 15. GM의 대우자동차 인수 16. 르노자동차와 삼성자동차의 합병 17. 크라이슬러와 벤츠의 M&A 18. 삼미의 아틀라스 인수 19. 동양화학의 롱프랑 와이오밍 인수 20. 쌍용양회의 리버사이드 시멘트사 인수 21. 영창악기의 커즈웨일 인수 22. LG전자의 제니스사 인수 23. LG화학의 힌두스탄 폴리머사 인수 : : 41.(주)LG화학-(주)호남석유화학 컨소시엄의 (주)현대석유화학 인수 42. 코닉시스템의 앤콤시스템 인수합병 43. CJ엔터테인먼트 & 플레너스 44. CITI 그룹의 한미은행 인수 45. 현투증권의 푸르덴셜금융 자본유치 46. 볼보건설기계와 삼성중공업 건설기계 부문의 합병 47. 삼성중공업의 중장비 부문 매각 48. (주)팬택의 (주)현대큐리텔 인수 49. 핸드백 브랜드 인수전쟁 50. 호남석유화학의 KP케미칼 인수 51. 동원금융지주의 한국투자증권 M&A 52. NHN의 기업인수 전략 53. IBM의 PwC 인수 54. 한라시멘트의 인수합병 55. 한솔제지의 한솔파텍 양수 56. (주)메디칼써프라이의 ㈜보성메티텍 인수 57. 한국레미콘(주)의 (주)창덕개발 인수 58. (주)위메프의 (주)아이씨비 인수 59. (주)한일진공의 (주)케이피엠테크 인수 60. 코덱(주)의 ㈜하이테크 인수 61. 삼천리자전거(주)의 ㈜쁘레베베 인수 62. NHN엔터테인먼트(주)의 ㈜티켓링크 인수 63. ㈜카카오의 ㈜ 카닥 인수 64. ㈜다우데이터의 스터밴코리아(주) 인수 65. 미래나노텍(주)의 상신전자(주) 매수 66. ㈜에스에이티의 나노테크 인수 67. ㈜오백볼트의 ㈜에너지세븐 인수 68. ㈜ 카카오의 ㈜카닥 인수 69. ㈜성운파마코피아의 ㈜성운바이오 인수 70. 두산산업개발(주)의 두산건설(주) 인수합병 71. 한화그룹의 삼성그룹 방산 및 유화 4개사 인수 72. LG그룹의 기업분할 · 지배구조 개선 73. 한미은행의 매각 74. 미디엄기업 다음카카오의 합병 후 통합(2/2)(이번 호 게재분) <승 전>
Ⅲ. 기업의 M&A 실사례
<사례 74> 미디어기업 다음카카오의 합병 후 통합(PMI) (2/2)
4. 분석결과
(2) 소셜 데이터 담론분석 결과 심층인터뷰에 이어 본 연구는 카카오톡-다음의 인수합병 이후 소셜 데이터 담론 추이를 보기 위해 2014년 8월 1일부터 2015년 5월 7일까지의 기간 동안 SNS에 작성된 총 79,705건의 ‘다음카카오’ 문서와 10,000,304건의 ‘카카오’ 문서, 823,233건의 ‘다음’ 관련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NS 공간 안에서 다양한 사용자들이 남긴 담론과 정서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다음소프트의 빅데이터 마이닝 검색 및 키워드 분석플랫폼인 ‘소셜메트릭스’(Socialmetrics)를 활용하였다. 먼저 대중들이 가장 많은 명사로 활용하고 있는 ‘카카오’로 탐색어 맵을 돌린 결과, 트위터(50,447건)나 페이스북(48,633건) 등 검색 기능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플랫폼에 대한 언급이 많아 사실상 이들 SNS가 카카오에게는 경쟁자가 아닌 보완재에 가까움을 보여주었다. 또한 ‘카톡’(50,197건), ‘카카오스토리’(260,030건)를 비롯해 카카오프렌즈(24,435건), 스토리 등 자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 관련 키워드와 사진, 정보, 채널 등 기능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 그리고 특기할만한 것은 ‘카카오’ 또는 ‘카카오톡’의 관련 키워드는 상당 부분 온라인 공간을 통한 다양한 행위 일반과 밀접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