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유동화전문회사의 의의 및 ABS의 발행구조 1. 유동화전문회사의 의의 2. ABS의 발행구조 Ⅱ. 유동화전문회사의 회계처리 Ⅲ. 유동화전문회사의 법인세 세무 Ⅳ. 자산보유자의 회계처리와 법인세 세무
회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자산유동화, 즉 회사가 보유한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사채를 발행(Asset Backed Securities)하는 방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98년 외환위기 당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인수한 캠코(KAMCO)에서 현금을 조속히 확보하기 위해 ABS를 발행하였는데, 그 때문에 국내에서 ABS(자산유동화증권)라고 하면 부실채권을 담보로 하는 것이라고 할 만큼 부실채권은 대표적인 유동화의 대상이 되었다. 그 이후에는 부동산담보대출채권, 신용카드채권, 장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출채권 등 다양한 자산(또는 미래 자산)이 ABS의 발행대상으로 확대되어 왔는데, 이번 호에서는 유동화전문회사의 정의와 ABS의 발행구조, 그리고 유동화전문회사의 회계처리와 재무제표를 살펴보고, 또 유동화전문회사와 직접 관련된 자산보유자의 회계처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Ⅰ. ◈ 유동화전문회사의 의의 및 ABS의 발행구조
1. 유동화전문회사의 의의
유동화전문회사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산을 담보로 사채를 발행할 때 담보로 제공할 자산을 원래의 자산보유자로부터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동법 법2조에 따른 자산유동화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