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기업의 M&A 실제사례- <70>
Ⅰ. M&A의 개요와 시장현황 Ⅱ. M&A의 거래분류 Ⅲ. M&A 주선기관 및 역할 Ⅳ. M&A의 실무절차 Ⅴ. 기업가치의 평가기법 Ⅵ. M&A 관련 법률 Ⅶ. 벤처기업의 전략적 제휴 및 M&A Ⅷ. M&A와 세무회계 Ⅸ. M&A 활성화 방안 Ⅹ. 특수 M&A 1. 적대적 M&A 2. 벤처기업 관련 M&A Ⅺ. M&A 실제 사례(이번 호 게재분)
Ⅺ. M&A 실제 사례
<사례 23> (주)LG와 (주)LG홀딩스의 기업분할․지배구조 개선 (1/3)
(1) 프롤로그 “큰형은 있었는데 아버지가 없었습니다.” (주)LG 재경팀 김성현 차장의 말이다. LG가 지주회사로 전환한 배경을 물었을 때 그는 지난날을 회고하며 말을 이어나갔다. “LG전자가 큰형 노릇을 많이 했습니다. LG전자는 돈은 많았지만 자기 사업에 투자하지 못하고 매번 다른 계열사에 출자를 해야 했습니다. 아버지가 없다 보니 출자는 하지만 관리는 못했던 거죠. 이제 LG지주회사가 아버지 노릇을 하게 되었습니다. 형제들끼린 출자하지 못한다고 하니까요. 출자는 우리가 하고 자식들은 경영만 잘하면 됩니다.”
LG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완료한 시기는 2003년 3월 1일이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LG는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우리나라에선 1999년 전까지 경제력 집중 문제로 지주회사 체제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처음 시도하는 것이었고 개정이 된 후에도 지주회사로의 전환기준이 까다로워 쉽지 않은 작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3년에 걸친 작업을 완성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어냈다. 출범한 지 5개월 만에 주가가 27%가 오르고 18개 LG그룹 계열사의 공개기업 시가 총액도 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종합주가지수(KOSPI) 상승률이 16%인 것과 비교하면 주목할 만하다. <파이낸셜 타임스> 등 여러 외신들도 LG그룹의 변화를 ‘한국기업 구조조정의 모범사례’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1년이 지난 2004년 4월 13일, 이사회는 다시 회사분할을 결의했다. 상호 사업연관성이 적은 ‘제조업 부문’과 ‘유통 중심의 서비스 부문’을 분리하기로 한 것이다. LG그룹 구조조정의 마지막 단계가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2) LG-GS 기업분할의 배경과 동기 ① LG그룹의 기업지배구조 개선현황 ㉠ LG그룹의 탄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