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개요
Ⅱ. 원가-조업도-이익분석의 가정 및 개념 1. 원가-조업도-이익분석의 가정 2. 원가-조업도-이익분석의 개념
Ⅲ. 기본가정하의 CVP분석 1.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 BEP)
Ⅳ. 가정이 완화된 경우의 CVP분석 1. 현금흐름에 의한 CVP분석 2. 복수제품 CVP분석
Ⅴ. 기타 CVP분석 1. 비선형함수하의 CVP분석 2. multi-period CVP분석 3. 전부원가계산에서의 CVP분석 4. 활동기준원가계산과 CVP분석
Ⅰ. 개요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이란 총수익과 총비용이 일치하는 점에서 이익도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 점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매출액기준일 수도 있고 판매수량기준일 수도 있다. 결국 손익분기점 분석은 조업도에 따라 원가, 수익, 이익의 영향을 분석하여 기업의 CFO들이 해당 기업의 환경에 적정한 계량적 분석 자료가 되어 목적적합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손익분기점의 분석은 CVP분석을 통하여 원가관리를 하는데, 원가-조업도-이익분석(costs-volume-profit analysis, CVP분석)이란,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기업의 원가, 수익, 이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면, 당해기업이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는 판매량과 매출액은 얼마정도 될 것인가, 또는 일정한 판매량에서 획득할 수 있는 이익은 얼마쯤인지, 일정한 목표이익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판매량과 매출액은 얼마쯤인지, 일정한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의 가격을 얼마로 결정해야 적정한 것인지 또는 판매가격이 변동되었거나 인건비 등 변동비용이 변동되는 경우, 임차료 등 고정비가 변동되었을 경우 이익이나 손익분기점은 어느 정도 변동되어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우 등 다양한 기업환경에 처했을 때 완전한 의사결정은 아니지만 손익분기점분석은 아주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즉 CVP분석은 당해기업이 계획을 수립하거나, 가격정책의 결정, 판매전략의 수립, 특별주문수락에 관한 의사결정, 자가제조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 등 여러 형태의 의사결정에 직면하게 될 때 아주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VP분석은 제조업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매업, 서비스업, 학교 및 병원과 같은 비영리조직에서도 널리 이용되는데, 여기에서는 CVP분석모형의 가정 및 가정하에서의 CVP분석과 일부가정이 완화된 경우의 CVP분석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