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화전략수립 Ⅱ. 기업사업화 환경의 변화와 전략경영 Ⅲ. 사업화계획이란 무엇인가? Ⅳ.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패요인과 지원제도 Ⅴ. 국내 기술이전·사업화 Ⅵ. 중소기업 사업화를 위한 효과적인 SEM 도입과 성공 원칙 Ⅶ. 사업화전략수립 - 기업수준의 전략 1. 기업수준의 전략 2. 다각화 전략 3. 수직적통합, 수평적통합 4. 글로벌전략 5. 퇴출 전략 6. 다각화 기업의 관리 7. 창업 벤처기업의 마케팅 전략 포인트 ~ Ⅷ. 사업계획 전략수립 1. 사업계획서 작성 2. smilor의 창업보육센터 성공요인 3.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의 성격요인 4. OECD의 창업보육센터 성공요인 5. 입주기업 측면의 성공요인 6. 벤처기업의 사업화 경영전략 7. 벤처기업의 역할 및 의의 8. 벤처기업의 특성 9. 벤처기업의 창업사업화전략 10. 벤처창업 사업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 18. 사업계획서(사업타당성) 분석의 필요성 19. 창업기업의 핵심역량 및 경쟁특성 20. 창업기업의 사업 타당성 분석 요소 21. 창업사업화 사업계획수립의 타당성 분석방법 22. 사업계획수립서 작성시 주요내용 및 사업화계획수립의 중요성 23. 사업(투자)계획서 작성시 고려사항 24. 창업사업 타당성분석이 필요성 25. 창업 신규사업 사업성 검토 및 분석 26. 사업성 분석의 기본 절차 27. 시장성 분석의 개요 28. 기술성 유무 사업타당성 분석 29. 사업계획서의 내용 30. 사업계획수립의 포지션 감사 31. 신규 사업성검토 (이번 호 게재분)
시장성 분석에서 맨 먼저 해야할 일은 계획제품의 시장성을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작업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며, 이는 제품의 종류, 원료, 용도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계획제품의 수요처가 그렇게 많지 않고, 경쟁사의 현황도 잘 알려져 있다면 목표 설정과 시장성 분석 자체가 비교적 쉽다. 그러나 제품 용도가 일반 대중적이고, 유통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경쟁사도 많은 경우라면 시장분석을 위한 작업이 매우 복잡해지므로 목표설정 과정에서부터 상세하고,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으면 안된다. 이번 호에는 사업계획 수립 중 신규 창업시장분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