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M&A의 개요 Ⅱ. M&A의 구분 1. 합병(merge) 2. 취득(acquisition) Ⅲ. M&A의 동기 1. 수익의 증가 효과 2. 비용의 감소 효과 Ⅳ. 사업결합에 대한 기업회계기준의 내용 1. 사업결합의 의의 2. 지배력의 의의 3. 사업결합의 방법 4. 사업결합의 식별 5. 사업결합의 회계처리 Ⅴ. K-IFRS에 따른 연결범위의 판단기준: 지배력
Ⅰ. M&A의 개요
기업의 구조조정은 기업이 경제 및 산업여건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조직변경, 사업조정, 경영합리화 등 경쟁력 강화와 생존을 위한 모든 자구노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합병·분할 등 조직변경, 인수·사업 양수도(교환) 등을 통한 적극적인 사업조정을 비롯하여 경제여건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과도한 투자 및 부실경영으로 경쟁력을 상실한 기업이 행하는 한계사업 정리, 업종 전환과 인력조정 및 경영방법 개선 등 경영합리화 노력과 자산 매각 등을 통한 차입금 상환 등 재무구조 개선을 총칭하는 광범위한 개념을 포함한다. 기업의 경영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변화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부단히 성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장하지 못한 기업은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즉, 기업의 성장은 다른 기업과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의 조건인 것이다. 기업의 성장형태는 내적성장과 외적성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내적성장(internal growth)은 경영활동에 따라 축적된 이익이나 외부의 신규자본을 도입하여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판매촉진활동을 통해 기업활동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을 말하고, 외적성장(external growth)이란 다른 기업과의 인위적인 결합을 통해 급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다른 기업을 합병 또는 취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