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M&A 회계와 세무 1. 합병 2. 분할·분할합병 3. 주식인수 4. 영업양수도 Ⅲ. 기업의 M&A 실사례 1. 한섬과 타임아이엔씨의 합병 2. ㈜IHQ와 (주)싸이더스HQ의 합병 3. 데이콤의 파워콤 인수 4. 우성넥스티어 (우성식품과 넥스티어의 합병) 5. 외환은행의 론스타 자본유치 6. 대우자동차의 폴란드 FSO사 인수 7. 대우중공업의 망갈리아 조선소 인수 8. 삼성전자의 럭스사 인수 9. 삼성전자의 HMS 인수 10. 삼성코닝의 독일 FGT사 인수 11. 하나로통신의 외자 유치 12. 대상의 라이신 매각 13. 두산음료의 합병과 매각 14. 한솔제지의 자산 매각 15. GM의 대우자동차 인수 16. 르노자동차와 삼성자동차의 합병 17. 크라이슬러와 벤츠의 M&A 18. 삼미의 아틀라스 인수 19. 동양화학의 롱프랑 와이오밍 인수 20. 쌍용양회의 리버사이드 시멘트사 인수 21. 영창악기의 커즈웨일 인수 22. LG전자의 제니스사 인수 23. LG화학의 힌두스탄 폴리머사 인수 : : 41.(주)LG화학-(주)호남석유화학 컨소시엄의 (주)현대석유화학 인수 42. 코닉시스템의 앤콤시스템 인수합병 43. CJ엔터테인먼트 & 플레너스 44. CITI 그룹의 한미은행 인수 45. 현투증권의 푸르덴셜금융 자본유치 46. 볼보건설기계와 삼성중공업 건설기계 부문의 합병 47. 삼성중공업의 중장비 부문 매각 48. (주)팬택의 (주)현대큐리텔 인수 49. 핸드백 브랜드 인수전쟁 50. 호남석유화학의 KP케미칼 인수 51. 동원금융지주의 한국투자증권 M&A 52. NHN의 기업인수 전략 53. IBM의 PwC 인수 54. 한라시멘트의 인수합병 55. 한솔제지의 한솔파텍 양수 56. (주)메디칼써프라이의 ㈜보성메티텍 인수 57. 한국레미콘(주)의 (주)창덕개발 인수 58. (주)위메프의 (주)아이씨비 인수 59. (주)한일진공의 (주)케이피엠테크 인수 60. 코덱(주)의 ㈜하이테크 인수 61. 삼천리자전거(주)의 ㈜쁘레베베 인수 62. NHN엔터테인먼트(주)의 ㈜티켓링크 인수 63. ㈜카카오의 ㈜ 카닥 인수 64. ㈜다우데이터의 스터밴코리아(주) 인수 65. 미래나노텍(주)의 상신전자(주) 매수 66. ㈜에스에이티의 나노테크 인수 67. ㈜오백볼트의 ㈜에너지세븐 인수 68. ㈜ 카카오의 ㈜카닥 인수 69. ㈜성운파마코피아의 ㈜성운바이오 인수 70. 두산산업개발(주)의 두산건설(주) 인수합병 71. 한화그룹의 삼성그룹 방산 및 유화 4개사 인수 72. LG그룹의 기업분할 · 지배구조 개선(3/3)(이번 호 게재분)
경영 전략적 관점에서 보면 LG-GS의 분할은 매우 긍정적이다. 경영전략 상 시너지란 기업집단이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기존 사업 간에 자원을 배분, 공유함으로써 매출증대나 원가절감 등을 이룩하며 생기는 현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기업은 전략적 신규 진출이 아니라 통상 ‘문어발식 확장’으로 표현되는 비관련 다각화로 인해 시너지를 거의 창출하지 못했지만 LG의 경우 성공적이었다는 평가이다.
Ⅲ. 기업의 M&A 실사례
<사례 72> LG그룹의 기업분할 · 지배구조 개선<3/3>
(7) LG와 GS 분할의 평가 ① 기업분할을 통한 가치창조의 개념 및 효과 분할 전 (주) LG는 LG그룹이라는 대규모 기업집단의 순수 지주회사로 다각화 기업의 본부(Headquarter)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미국의 경우, 다각화가 주로 기업 내 사업부(Division) 형태로 이루어지는 데 비해, 한국의 경우는 상호 출자와 인사교류를 통한 내부 자본시장과 인력시장의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기업집단의 형태가 주를 이룬다. 따라서 본 사례는 기업분할의 평가기준을 미국의 다각화 기업의 구조조정 모형을 차용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