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주택조합의 회계 1. 주택조합 관련 회계 Ⅱ. 관리처분계획 1. 관리처분계획의 의의와 필요성 2. 관리처분계획의 내용 Ⅲ. 조합의 내부감사 및 외부감사 1. 감사의 의의 2. 감사의 필요성 3. 회계감사의 종류 Ⅳ. 주택조합의 부가가치세 실무 1. 사업자등록 2. 사업자등록시기 3. 주택조합과 조합원간의 거래 4. 조합의 주택일반분양 Ⅴ. 건설공사와 부가가치세 1. 계약형태와 부가가치세 Ⅵ. 재개발 및 재건축조합의 양도소득세 실무 Ⅶ. 재개발·재건축 조합입주권 1. 조합원입주권 양도시 비과세 요건 2. 주택과 조합원입주권 소유자의 비과세 3. 일반주택 + 취득 후 3년 이내의 조합원입주권 소유 중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4. 일반주택 + 취득 후 3년 경과한 조합원입주권 소유 중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5. 대체주택 + 재개발·재건축주택 보유 중 대체주택 선(先)양도하는 경우 Ⅷ.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 해설 1. 개발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 2. 부과제외 및 감면
주택조합의 회계는 사업의 특성, 회계정보이용자의 특성, 정보내용의 특성 등에 의하여 기업의 회계와 비교하여 여러 가지 다른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주택조합 회계의 고유한 특성일 수도 있고, 다른 경제주체에도 해당되는 특성일 수도 있다. 주택조합회계는 주택조합의 사업 및 회계의 특성을 검토하여 그에 맞는 회계처리 및 보고를 하여야 유용한 재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기업회계기준을 정부회계나 학교회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주택조합의 특성에 맞도록 회계기준을 적용하여야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제공이라는 회계의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