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의의
Ⅱ.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Ⅲ. 재무제표의 상호관련성 1. 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표의 관련성 2.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의 관련성 3. 현금흐름표와 손익계산서 및 대차대조표의 관련성 4. 자본변동표와 다른 재무제표의 관련성
Ⅳ. 현금흐름표작성에 필요한 사항
Ⅴ. 양식 1. 영업활동 2. 투자활동 3. 재무활동
Ⅵ. 현금흐름표 작성시 유의사항
Ⅶ. 현금흐름표의 작성 1. 직접법 2. 간접법
Ⅰ. 의의
현금흐름표란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재무제표로서 현금의 변동내용을 원천별로 명확하게 보고하기 위하여 당해 회계기간에 속하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내용을 원천별로 적정하게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이러한 현금흐름표는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발생주의회계에 의하여 작성되는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의 당기순이익이 순현금유입액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순현금유입액이 얼마인지를 표시해주는 재무제표가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충족시켜주는 것이 현금흐름표이다. 회사의 채무상환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 보다는 현금흐름의 내용이 더 중요하다.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모든 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에 관한 회계정보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자산, 부채 및 자본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대차대조표를 보완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1) 현금의 범위 기업회계기준상 현금흐름표작성의 기준이 되는 현금이란 현금 및 현금등가물을 말한다. 여기에서 현금 및 현금등가물은 통화 및 타인발행수표 등 통화대용증권과 당좌예금, 보통예금 및 현금등가물로 한다. 현금등가물이라함은 큰 거래비용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이자율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의 위험이 중요하지 않은 유가증권 및 단기금융상품으로서 취득당시 만기(또는 상환일)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요약하면 현금흐름표작성에 적용되는 현금 및 현금등가물의 범위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