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기업의 M&A 실제사례- <66>
Ⅰ. M&A의 개요와 시장현황 Ⅱ. M&A의 거래분류 Ⅲ. M&A 주선기관 및 역할 Ⅳ. M&A의 실무절차 Ⅴ. 기업가치의 평가기법 Ⅵ. M&A 관련 법률 Ⅶ. 벤처기업의 전략적 제휴 및 M&A Ⅷ. M&A와 세무회계 Ⅸ. M&A 활성화 방안 Ⅹ. 특수 M&A 1. 적대적 M&A 2. 벤처기업 관련 M&A Ⅺ. M&A 실제 사례(이번 호 게재분)
웅진코웨이의 두원테크 인수합병은 신규 사업진출을 위해 주식교환 방식으로 이루어진 우호적 합병이라고 성격 지을 수 있다. 기존 사업의 성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기업이 성장성을 높이기 위해 신규 사업에 진출하는 수단으로 M&A가 사용된 경우다. 웅진코웨이는 정수기 시장이 2003년을 기준으로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생활가전 사점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려고 두원테크를 인수하였다. 이번 호에는 웅진코웨이의 두원테크 인수과정과 인수효과 등을 게재하여 동기업의 합병사례를 마무리 하였다.
Ⅺ. M&A 실제 사례
<사례 21> 웅진코웨이와 두원테크의 합병(2/2)
(3) 인수 과정
① 왜 두원테크인가? 합병 당시 국내 가전산업에서 멀티미디어와 첨단가전을 제외한 백색가전이 차지하는 규모는 10조 원 정도로 추정된다. 그 중에서 정수기와 공기청정기 시장이 2조 원 정도를 차지하고 나머지 8조 원의 시장이 웅진코웨이가 진출하지 않은 백색가전 시장이었다. 백색가전 시장은 메이저 대기업 3사와 중소기업이 경쟁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런데 당시 웅진코웨이는 대기업과의 기술격차가 5~6년 정도가 난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이는 대기업들이 기술개발을 안 할 경우에 웅진코웨이가 5~6년 정도 기술개발을 해야 따라잡을 수 있는 정도의 기술격차를 말한다. 따라서 웅진코웨이가 독자적으로 새로운 가전사업에 들어가기에는 높은 기술 장벽이 있었다. 이로 인해 독자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통해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회사의 인수합병을 통해 진출하려는 시도를 한 것이다. 웅진코웨이는 2002년부터 30여 개의 가전회사들을 M&A 고려대상으로 삼고 인수합병 대상을 찾아 나섰다. 두원테크는 그 중에서 가장 작은 회사였다. 웅진코웨이는 대기업이 투자하기에는 시장이 너무 작아 원가부담이 되고 시장지배 사업자가 중소기업이어서 경쟁을 해볼 만한 시장으로 진출할 전략을 세워놓았다. 그리고 웅진코웨이의 입장에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M&A라서 사후 통합관리(PMI)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커다란 기업을 인수하기에는 부담이 되었다. 이런 전략과 조건에 맞는 기업이 두원테크였다. 당시 밥솥시장의 시장지배자는 쿠쿠홈시스인데 그룹사에 속해 있는 웅진코웨이 입장에서는 풍부한 자금력으로 투자하면 경쟁해볼 만한 상대라고 판단했다. 그리고 두원테크가 작은 회사라서 인수합병 후 PMI가 상대적으로 쉬울 것이라고 생각하여 두원테크를 인수합병 대상으로 선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