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재무계획 및 재무타당성 분석 1. 재무타당성 분석의 필요성 및 전제조건 2. 분석의 범주 및 평가항목 3. 수익전망 및 손익분기점분석 Ⅱ. 재무타당성 분석 Ⅲ. 현금수지예산
이번 달부터는 ‘기업재무 및 자금효율화 관리’에 대하여 총 6회에 걸쳐서 연재를 한다. 기업의 재무타당성 분석 방법 즉, 분석의 범위와 평가항목에 대한 설명과 수익전망과 손익분기점 분석 등과 재무타당성의 필요성과 그 전제조건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금수지 및 자금조달 능력 등 현금수지 예산에 관하여도 상세히 설명하였다.
-------------------------------- Ⅰ. 재무계획 및 재무타당성 분석 --------------------------------
1. 재무타당성 분석의 필요성 및 전제조건 아무리 제품의 품질이 좋고, 시장성이 뛰어나서 성공적으로 생산․판매되더라도 수익이 제대로 창출되지 못하든가 투자의 경제성이 없다면 그 사업은 근본적으로 실익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재무타당성 분석은 사업타당성 분석의 최종단계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창업 후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사전준비과정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계획제품이 그 특성상 수익성이 낮다면 영업외적 요소, 즉 인건비나 경비를 줄일 수밖에 없는 경영전략 수립이 요구되며, 경제성이 없다면 새로운 사업 분야의 탐색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재무타당성 분석은 추정 재무제표의 작성을 그 전제로 하고 있다. 수익전망은 향후 3년 내지 5년간의 추정제조원가 명세서와 추정손익계산서를 작성하여야만 그 예측이 가능하며, 예측된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 규모에 의해 손익분기점분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추정 대차대조표와 자금조달 운용계획표가 작성되어야만 이를 근거로 투자수익 및 계획사업에 대한 경제성 평가가 가능하고, 자금흐름 예측에 의거하여 자금수지 및 자금조달 능력을 검토할 수 있기 때문에 재무타당성 분석은 추정 재무제표작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2. 분석의 범주 및 평가항목
평가항목은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수익전망, ② 손익분기점 분석, ③ 투자수익 및 계획사업의 경제성 분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수익전망은 창업 후 3년 내지 5년간의 추정손익계산서(제조원가 명세서 포함), 추정대차대조표 및 현금수지예산을 작성한 후, 이를 근거로 기준시점 이후 3년 내지 5년간의 수익전망 및 흑자실현 가능시점 등 수익성을 검토한다. 둘째, 손익분기점 분석은 손익분기점 매출액, 즉 기업이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이 일치하는 매출액과 비용은 어느 정도이며, 어느 시점에 실현 가능한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부수적으로 손익분기점 산출 후 판매수량, 금액, 고정비, 변동비 등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도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투자수익 및 계획사업의 경제성 분석은 각종 투자수익률 산출방식에 의한 투자수익률을 산출함과 동시에 계획사업을 통해 최소한 목표수익률 이상의 수익실현이 가능하며, 나아가서 계획사업의 경제성은 있는지를 분석하게 된다.
...이하첨부 파일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