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결합의 개요 1. 사업결합의 의의기업의 운전자본관리 2. 사업결합의 식별 3. 동일지배하에 있는 기업간 사업결합 Ⅱ. 매수법의 적용 1. 취득자의 식별 2. 사업결합원가 3.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한 사업결합원가의 배분 4. 잠정적으로 결정된 최초 회계처리 5. 피취득자의 식별가능한 자산, 부채 및 우발채무의 공정가치 Ⅲ. 사업결합에 대한 공시 1. 일반적 공시사항 2. 당기손익, 오류수정 및 기타조정 및 공시사항 3. 영업권 공시사항 Ⅳ.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와 현행 기업회계기준과의 비교
Ⅰ. 사업결합의 개요
1. 사업결합의 의의
사업결합이란 별개의 기업을 또는 사업들을 하나의 보고기업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업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에게 수익을 제공할 목적이 있어야 하고 둘째, 보험계약자나 참여자에게 직접적이고 비례적으로 원가를 감소시키거나 그 밖에 경제적 효익을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고 관리되는 활동과 자산의 총제적 집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업은 투입, 그 투입에 적용되는 과정, 그 결과로 인하여 발생하여 수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사용되거나 사용될 산출물로 구성된다. 만일 이전되는 활동과 자산집단 내에 영업권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 이전되는 활동과 자산집단을 사업으로 본다. 요컨대 사업은 기업에 대한 계약 당사자인 투자자나 보험계약자 등에게 수익이나 기타 경제적 효익을 제공하기 위한 흐름으로서의 관리활동과 일정상태로서의 자산집단을 나타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