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테마논단

이번호보기
지난호보기
베스트자료
컬럼
특집
논단
연재논단
합격수기
자격취득
택스문고
원고기고
필자소개
구독신청

☞ 자매지
매주 테마기획해설,시사실무해설,세무정보,회계정보를 빠르고 알차게 전달하는 국내최고의 세무회계 주간 조세저널

연재 해설/논단
강영구 양범준
황상원 조석훈
신용완 정승미
신효정 하문춘
김찬호 김명석
임순택 김기균

HELP-Desk
유료회원안내
결재 전표출력
회사소개
Home > 테마해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세무관리학과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회계학과 졸업(경영학 박사)
명지전문대 교수·세무사
e-mail : sktax114@hanmail.net
저서: 세법상의 信義則論, 조세법의 쟁점연구 등 다수
TEL. (02)525-6767
올 한해 ‘저출산·고령화’가 개선되는 원년이 되기를...
 저자: 박상근 |   당월호가기:515  |  날짜:2020-01-10 |  조회수:16133
 

 
 인구는 소비와 생산의 원동력이다. 인구가 줄면 소비는 따라서 줄어든다. 이는 기업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노령인구가 늘어나면 소비 감소와 함께 사회안전망비용이 증가하면서 경제·사회 각 분야의 활력을 떨어뜨린다. 소비와 생산을 감소시키는 ‘저출산·고령화’는 바로 저성장으로 이어진다. 최근 몇 년간 우리 경제가 2%대 초반의 저성장에 머문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도 인구 고령화에서 비롯됐다. 

 한국은행이 통계청의 인구추계를 반영해 인구고령화에 따른 경제 성장 시나리오를 분석한 보고서에 의하면, 2000~2015년 연평균 3.9%이던 경제성장률은 2016~2025년엔 1.9%, 2026~2035년 0.4%로 가파르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6~2045년에는 아예 실질성장률이 0%로 주저앉는다. 인구고령화 속도가 워낙 가파른데다, 은퇴 뒤 사회안정망이 부족해  곧바로 소비가 위축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 13년간 수백 가지 저출산대책에 143조원의 나랏돈을 쏟아 부었지만, 2018년 합계출산율(출산 가능 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자녀의 수)은 0.98명으로서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꼴찌다. 2018년 신생아 수는 30만명대 초반으로 ‘70~‘80년대(연평균 80만명)의 37.5%로 떨어졌다. 지난해 신생아 수는 30만명 수준도 붕괴된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와 생산의 원동력인 인구가 심각한 수준으로 급감하고 있는 것이다.

 노인 진료비 보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문(文) 케어 정책으로 2018년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가 사상 처음 30조원을 돌파했고, 건강보험수지는 1778억원 당기적자를 기록, 8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여기에 정부의 기초연금 인상 정책과 고령화가 맞물려 노인 기초연금 지급액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가 미래세대의 부담과 나랏빚을 늘리는 주범이 됐다.  

 저출산·고령화를 해결하지 않으면 한국의 미래는 없다. 2020년 올 한해 ‘저출산·고령화’가 개선되는 원년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효과가 불분명한 백화점식 저출산·고령화대책으로는 인구 문제를 풀기 어렵다. 여기서 분명한 것은 경제가 성장하고 일자리와 소득이 늘어나는 호황기엔 결혼이 늘고 출산율이 높았다는 사실이다. 

 먼저 우리경제의 성장 능력 즉, ‘잠재성장률’을 높여 성장과 고용, 복지가 선순환(善循環)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잠재성장률은 인구와 취업자 수, 노동생산성에 달렸다. 한국은 이미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기 시작했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가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여기에 잠재성장률을 증가시키는 핵심 요소인 제조업 ‘취업자 수’가 악화일로에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한국에서 잠재성장률을 높이기는 쉽지 않다. 젊은 이주민을 받아들이고,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한편 실효성 있는 출산율 제고 방안 등 소비와 생산을 뒷받침할 수 있는 특단의 ‘인구대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는 저출산·고령화대책 ‘컨트롤타워’를 세우는 일이다. 지금은 일자리·출산·노후대책 담당 부서가 달라 따로 논다. 이른바 부처이기주의 때문에 정책의 우선순위가 잘 가려지지 않고 재정 낭비가 심각하다. 대통령 직속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있지만 기능상  콘트롤 역할을 하기엔 역부족이다. 저출산·고령화정책을 보다 강력하고 종합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시스템개혁이 필요하다. 일본의 인구 문제 총괄담당 1억 총활약상(장관급)과 같은 인구정책 종합 컨트롤타워의 설치를 긍정적으로 검토할 때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로봇·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기술혁신으로 ‘노동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여기에는 일자리 안정과 노동유연성을 전제로 한 ‘노동개혁’과 기업 활력을 높이는 ‘규제개혁’이 필수다. 기술은 취업자를 줄이는 변수일 수 있다. 그렇지만 4차 산업혁명시대를 앞서 이끌어가는 ‘신(新)기술’은 노동생산성을 높이면서 새로운 먹거리와 일자리를 선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문서 전체를 원하시면 ↑상단 다운로드 버튼으로 자료를 받아 보세요!

본 내용은 택스 매거진에 게재된 글 입니다
택스 매거진는 매월 발행되는 정기 간행물 입니다
"새로운 세무·자세한 회계"란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30주년간 경리인들과 함께 해온 최고의 경리인 실무 길잡이 입니다

매월 1회 발행, 4X6배판, 매월180쪽
월 15,000원, 연180,000원

구  분 필자의 다른 원고 리스트 작성일
부동산 관련 절세 대책 <하> 2024-09-10
부동산 관련 절세 대책 <중> 2024-08-10
부동산 관련 절세 대책 <상> 2024-07-10
등록 주택임대사업자의 임대료 증액 관련 해설 2024-04-10
개정 주택관련 세제의 실무적 고찰 <하> 2022-08-10
개정 주택관련 세제의 실무적 고찰 <상> 2022-07-10
주택임대사업자애 부과되는 과태료에 대한 고찰 2021-11-10
지방세법 중 주택 취득세 관련 주요 해설 <하> 2021-08-10
지방세법 중 주택 취득세 관련 주요 해설 <상> 2021-07-10
민간임대주택법 개정에 따른 양도소득세 세제혜택 적용요건의 변화 2021-05-10
기업 상속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한다. 2021-04-10
등록임대사업자의 1세대 3주택 중 거주주택 양도에 따른 대책 2021-03-10
기본과 원칙에 충실한 주택정책을 바란다. 2020-12-10
8.4 개정 종합부동산세법 주요 해설 <하> 2020-11-10
8.4 개정 종합부동산세법 주요 해설 <상> 2020-10-10
양도소득세 관련 세법의 주요 개정 내용과 절세전략 2020-09-10
긴급재난지원금의 평가와 향후 과제 2020-07-10
올 한해 ‘저출산·고령화’가 개선되는 원년이 되기를...  2020-01-10
세제개편 원칙 지켜야 성장하면서 일자리가 늘어난다. 2019-11-11
사람과 기업, 돈이 한국을 떠난다. 2019-08-10
원칙 벗어난 부동산세제 바로잡아야... 2019-04-10
양도차익 계산시 기타 필요경비 인정요건의 변천 2019-03-10
방만과 낭비로 점철된 나라 살림 2018-11-10
소득주도성장에 대하여 냉정하게 평가할 때이다. 2018-07-10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제 해설 <하> 2018-07-10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제 해설 <중> 2018-06-10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제 해설<상> 2018-05-10
기업이 한국에 투자하고 싶은 한해가 되기를... 2018-01-10
양극화 해소와 세제의 역할 2017-11-10
새 정부 세제의 과제, 공평과 효율 2017-07-10
법인세에 대한 오해를 알고 대처해야... 2017-04-10
불황에 나라 곳간만 넘치면 경제는 어떻게 되나? 2017-02-10
세제 개편, 세율인상보다 세원확대가 더 시급하다. 2016-12-10
법인세율 인상이 과연 최상의 선택일까? 2016-08-10
국세 200조 시대와 앞으로의 과제 2016-02-10
부동산 취득·보유 및 양도 관련 주요 쟁점 해설 2015-11-10
부동산 취득·보유 및 양도 관련 주요 쟁점 해설 2015-10-10
조세원칙에 충실한 세제 개편을 2015-10-10
부동산 취득 · 보유 및 양도 관련 주요 쟁점 해설 2015-09-10
복지와 세금구조 개혁의 필요성 2015-04-10
복지와 세금구조 개혁 2015-03-10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실무해설<하> 2015-02-10
2015년 한국경제, 구조적 경기침체에 대비해야... 2015-01-10
1세대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실무해설 <상> 2015-01-10
세제의 소득재분배 기능 강화해야 소비 늘어난다. 2014-09-10
토지 거래시 양도세 중과세제의 규제 완화 필요 2014-05-10
부동산 관련 전반적 해설 2014-04-10
부동산 관련 전반적 해설 2014-03-10
부동산 관련 전반적 해설 2014-02-10
부동산 관련 전반적 해설 2014-01-10
복지재원 마련을 위한 바람직한 세제개편 방향 2013-11-05
양도소득세 계산시 공제되는 기타필요경비의 범위 2013-10-10
특수형태 매매의 취득․양도시기 해설 2013-09-10
차명계좌 증여추정의 쟁점과 대책 2013-08-10
차명계좌 증여추정과 소급과세금지원칙 2013-06-10
지속가능한 복지시대 ‘세제개혁’에 달렸다 2013-01-10
법인세율을 낮게 유지해야만 하는 이유 2012-09-10
납세의무의 성립․확정․소멸에 대한 고찰 2012-06-10
세제의 근간 뒤흔드는 부가가치세 간이과세 확대 2012-05-10
양도소득세 주요 감면해설<完> 2011-12-10
양도소득세 주요 감면 해설 2011-11-10
넘어야 할 산 많은 ‘일감몰아주기’ 과세 2011-11-10
양도소득세 주요 감면 해설 2011-10-09
법인세, 세율 내리고 세원을 확대해야... 2011-09-10
정부와 납세자가 상생하는 세무검증제를 도입해야... 2011-05-10
종합부동산세 실무해설 2011-03-11
지방재정 건전화, 일본에 답이 있다 2011-01-10
주택임대사업자의 요건과 세제지원 2010-11-10
주택임대사업자의 요건과 세제지원 2010-11-03
조세원칙에 충실한 세제개편을 바란다 2010-10-11
양도소득세 주요 감면 해설 2010-09-10
상속 증여세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야 한다 2010-06-11
2010년 시행 부동산관련 개정세법 해설(하) 2010-05-20
0년 시행 부동산관련 개정세법 해설(상) 2010-04-15
특수관계인과 부동산거래시 세무상 쟁점과 대책(하) 2010-02-20
특수관계인과 부동산거래시 세무상 쟁점과 대책(상) 2010-01-10
사업조직형태와 이중과세조정의 필요성 2009-12-07
토지분 보유세의 부담추이 분석 2009-09-10
정부 재정적자와 올해 세제개편 방향 2009-08-10
세제(稅制)의 공평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2009-05-06
‘減稅’로 경제를 활성화 시키려면... 2008-11-10
부동산 보유 및 개발이익환수에 따른 대책 2008-09-03
납세자권익보호와 세무조사의 신뢰성 확보 2008-06-25
‘비즈니스 프렌들리’ 세제의 조건 2008-04-08
기업경쟁력 제고위해 효율적 세제 운용해야... 2007-12-05
불합리한 ‘지방세 과세기준’ 국민 불만 키운다. 2007-06-07
종합부동산세 실무 해설 2007-04-06
근로장려세제(EITC) 도입에 즈음하여 2006-12-03
부동산 실거래가 등기부기재제도 해설 2006-08-08
중장기 세제개혁의 기본과 원칙을 지켜야 2006-07-05
금융소득 종합과세 해설 2006-05-02
종합부동산세 관련 해설 2006-03-02
부동산 거래세와 보유세의 조화 2006-02-01
종합부동산세 신고 납부해설 2005-12-01
금융소득 종합과세 해설<상> 2005-05-01

외화 계좌 이체 환산손익 처...
매출 채권 제각 이후 회수 ...
임대 매출원가 문의
투자기업 지분법 회계처리 문의
합병으로 인한 세금관련 문의...
본지점간 거래
법인 소유 아파트의 종합 부...
중간배당 이익준비금 회계처리...

최신 업데이트 자료실 더보기
2025년 법인세 신고실무
2025년 법인세 세무조정
2025년 2월 국세청 직원...
2024 법인세법 축조 해설
2024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2024년 법인세 세무조정

기준재정환율
주간과세환율

TAX 매거진
· 매달 이슈가 되는
  테마 해설
· 회계사, 세무사등
  전문가들이 기획
· 세법 및 회계실무와
  이론을 엮어 해설
주간 조세저널
매주 테마기획해설,시사실무해설,세무정보,회계정보를 빠르고 알차게 전달하는 국내최고의 세무회계 전문 주간잡지

회사소개  | 간행물구독안내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Home
[Top]

재무회계 리더 intax Copyright© 2023. www.InTax.co.kr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38-14 (주)조세신보사
대표자 : 김종달 , 정보책임자 : 김종달 TEL : 02-779-7800 / FAX : 0504-384-8400
사업자 등록번호 : 101-81-24546 / 통신판매업 신고 : 서대문구 0457호
대한세무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