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M&A의 개요와 시장현황 Ⅱ. M&A의 거래분류 Ⅲ. M&A 주선기관 및 역할 Ⅳ. M&A의 실무절차 Ⅴ. 기업가치의 평가기법 Ⅵ. M&A 관련 법률 Ⅶ. 벤처기업의 전략적 제휴 및 M&A Ⅷ. M&A와 세무회계 Ⅸ. M&A 활성화 방안 Ⅹ. 특수 M&A 1. 적대적 M&A 2. 벤처기업 관련 M&A Ⅺ. M&A 실제 사례(이번 호 게재분)
웅진코웨이는 2003년 7월 ‘마마’ 밥솥으로 유명한 (주)두원테크를 전격적으로 인수합병(M&A)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생활가전 부문으로 사업영역을 넓힐 것이라는 얘기가 업계를 강타했다. 특히 ‘두원테크’의 인수는 웅진그룹 차원에서도 처음 있는 M&A라 업계의 관심을 모았다. 2회에 걸쳐서 웅진코웨이의 합병대상 기업인 두원테크의 기업분석 및 매출현황 등을 포함하여 인수합병과정을 소개한다.
M&A 실제 사례
<사례 21> 웅진코웨이와 두원테크의 합병 (1/2)
(주)웅진코웨이는 2004년 5월 ‘쿠첸’이라는 자체 브랜드로 전기압력밥솥 시장에 진출했다. 잇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사고에도 불구하고 출시한 지 한 달 만에 판매량이 두 배로 증가했다. 정수기로 잘 알려진 웅진코웨이가 자체 브랜드로 어떻게 전기압력밥솥에 진출했을까? 그 답은 2003년 9월에 이루어진 (주)두원테크와의 인수합병에서 찾을 수 있다. 웅진코웨이는 2003년 7월 ‘마마’ 밥솥으로 유명한 (주)두원테크를 전격적으로 인수합병(M&A)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생활가전 부문으로 사업영역을 넓힐 것이라는 얘기가 업계를 강타했다. 특히 ‘두원테크’의 인수는 웅진그룹 차원에서도 처음 있는 M&A라 업계의 관심을 모았다. 웅진코웨이는 두원테크 인수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것은 2003년 2월이다. 같은 해 4월에 양해각서(MOU)가 체결되고, 최종 합의는 그로부터 5개월 후인 9월에 이루어졌다. 웅진코웨이가 두원테크 인수에 관심을 가진 가장 큰 이유는 주력제품인 정수기 시장이 2002년부터 성숙기로 들어섰기 때문이었다. 즉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했던 것이다. 또 새로운 투자를 하기보다는 기존 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새로운 사업에 진출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신규 사업 분야는 웅진코웨이의 주력상품인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 규모가 큰 제품들과는 다른 소형가전 사업이어야 한다는 게 전략기획 과정에서 결정됐다. 다품종 소량 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가전은 기술 장벽이 높고 대기업에게는 원가부담이 되기 때문에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