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원가계산의 의의
원가란 원료를 매입하여 이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드는데 소비된 모든 경제적 가치(재료비 + 노무비 + 제조경비)의 합계를 원가라 한다. 우리가 보통 원가란 제조원가를 의미한다. 그러나 강의의 원가란 특정제품을 생산하거나 역무를 수행하여 이를 판매할 때까지 소비된 일체의 경제가치(제조원가 + 판매관리비 + 영업외비용)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협의에 있어서 원가란 미국회계학계(A.A.A.)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특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생한 또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희생을 화폐액으로 측정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협의의 원가개념을 아래와 같은 2가지의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원가는 소비된 경제가치의 화폐액
경제적가치란 무형의 재화로서 이용성과 희소성이 있는 재화나 용역을 뜻한다. 그리고 원가란 화폐지출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여받은 재화나 기업이 자가생산한 재화를 다시 제품생산을 위하여 소비하였을 경우에도 원가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원가가 중요한 것은 화폐적 지출이 아니고 생산 또는 판매과정에서 재화가 소비되었는가의 여부에 달려있다 하여 재화의 소비야 말로 원가성립에 있어서 결정적인 것이며, 화폐적 지출이 문제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2. 원가는 급부를 위하여 소비된 경제가치
원가란 기업에서 소비된 경제가치가 반드시 원가가 되는 것이 아니다. 원가란 제조기업이 고유의 활동인 제품생산이나 역무제공을 위하여 소비된 경제가치의 부분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화재로 인한 재화의 손실이라던가 기부금과 같이 경제적 가치의 소비는 있었으나 특정생산목적에 소비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원가라고 말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