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리스회계의 일반사항 1. 의의 2. 적용 범위 3. 리스용어의 정의 4. 리스의 분류 5. 리스분류시 세무회계상 유의사항 Ⅱ. 운용리스의 회계처리 1. 리스실행일 이전 2. 리스실행일 3. 운용리스 수익, 비용의 인식 Ⅲ. 금융리스의 회계처리 1. 소유권이전약정이나 염가매수선택권약정이 없는 경우 2. 소유권이전약정이나 염가매수선택권약정이 있는 경우 Ⅳ. 세무회계상 유의사항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리스료를 받고 특정 자산을 대여하는 자와 그 자산을 사용하는 자의 리스관련 회계처리를 적용하는 것으로, 여신전문금융업법상의 시설대여거래 뿐만 아니라 임대차, 렌탈거래를 포함한 모든 리스거래에 적용한다. 리스는 물건의 소유자 등이 임대료의 지불을 받는 조건으로 타인에게 그 물건을 사용하도록 하는 계약으로 민법상의 임대차계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최근의 리스의 개념은 주로 기계설비 등의 고정자산을 구입하는 데 필요한 자금조달의 금융적 기능을 강조하는 형태가 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