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화전략수립 Ⅱ. 기업사업화 환경의 변화와 전략경영 Ⅲ. 사업화계획이란 무엇인가? Ⅳ.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패요인과 지원제도 Ⅴ. 국내 기술이전·사업화 1. 국내 기술이전·사업화의 중요성 2. 국내 기술이전·사업화 현황 3. 2013년 기술이전·사업화 주요 이슈 Ⅵ. 중소기업 사업화를 위한 효과적인 SEM 도입과 성공 원칙 Ⅶ. 사업화전략수립 - 기업수준의 전략 1. 기업수준의 전략 2. 다각화 전략 3. 수직적통합, 수평적통합 4. 글로벌전략 5. 퇴출 전략 6. 다각화 기업의 관리 7. 창업 벤처기업의 마케팅 전략 포인트 8. 중소기업의 위기관리 대응법 9. 혁신을 생산하는 시스템 도입 10. 창업벤처기업의 개요 11.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12. 벤처기업의 성공요인 및 개요 13. 혁신형 기업 14. 혁신형 중소기업의 형태 유형 15. 혁신형 중소기업의 발전과 역할 및 현황 16. 우리나라 혁신형 중소기업 역할 17. 벤처기업 성공 사례 18.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및 사업타당성분석 Ⅷ. 사업계획 전략수립 1. 사업계획서 작성 2. smilor의 창업보육센터 성공요인 3.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의 성격요인 4. OECD의 창업보육센터 성공요인 5. 입주기업 측면의 성공요인 6. 벤처기업의 사업화 경영전략 7. 벤처기업의 역할 및 의의 8. 벤처기업의 특성 9. 벤처기업의 창업사업화전략 10. 벤처창업 사업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11. 벤처사업화 분야별 작성 세부내용 12. 사업화 재무계획 13. 사업화 생산계획 14. 사업계획서 작성시 주의사항 15. 성공벤처가 되기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이번 호 게재분) 16. 사업계획서의 중요성 및 사업계획서의 내용 17.창업계획의 전과정 고려사항
해당분야의 시장잠재력이 클 경우에만 당신의 회사의 가치도 급속히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며, 산업에 대한 분석과, 당신의 회사가 영업을 하려는 시장을 세분화한 자료가 있어야 그 시장이 가지는 잠재력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벤처캐피탈리스트가 단순히 당신이 사업계획서에서 제시하는 숫자 만으로 설득될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시장의 수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과 마케팅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래서 잠재적인 투자자가 당신 계획의 합리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번 호에는 사업계획 전략수립 중 성공벤처가 되기 위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해설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