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법인세와 결산 Ⅱ. 세무조정 1. 순자산증가설 2. 과세소득의 범위 3.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차이 4. 소득의 처분 Ⅲ. 2015년 주요 개정사항 Ⅳ. 재무상태표와 관련된 세무상 결산 1. 자산 및 부채 평가의 기본원칙 2. 자산의 감액손실 3. 기업회계기준 및 관행의 보충적 적용 4. 자산의 취득가액 5. 보유기간 중의 취득가액 변동 Ⅴ. 손익계산서와 관련된 세무상 결산 1. 인건비와 복리후생비 2. 접대비와 기부금 3. 세금과 공과금 4. 광고선전비
Ⅰ. 법인세와 결산
세무와 관련된 기말의 결산절차는 기업회계기준을 통해 생성된 회계이익을 소득처분의 사후관리를 포함한 세무조정의 과정을 거쳐 과세소득을 만드는 과정이다. 원래는 순자산증가설에 따른 법인의 익금총액에서 손금총액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또 하나의 결산과정을 거쳐서 과세소득을 만들어야 하며 이 과정이 세무와 관련된 연말 결산이다. 일반적으로 세무와 관련한 별도의 결산절차를 하지 않으므로 세무조정이나 소득처분 등은 익숙하지만 세무와 관련된 결산은 낯설다. 너무 당연하기 때문에 놓치기 쉬운 세무조정의 원리를 다음 그림을 통해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