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구매?자재부문에 대한 내부감사 일반사항 1. 구매?자재부문의 업무 및 특성 2. 구매?자재부문의 중점관리 및 내부감사 고려사항 3. 구매?자재 부문의 내부감사체크리스트 4. 구매?자재부문의 부정사례와 방지대책 Ⅱ. 구매활동 내부감사 1. 구매감사 2. 구매업무에 따른 내부감사 통제점 3. 구매감사의 방법 Ⅲ. 제조활동 내부감사 1. 공정감사 목적 2. 공정감사 검증기준 Ⅳ. 재고자산 내부감사 1. 재고자산 내부감사의 중요성 2. 재고자산 내부감사의 방법
Ⅰ. 구매?자재부문에 대한 내부감사 일반사항
제조기업인 경우 원가 중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재료비를 최대한 절감하여 회사 이윤을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재료 구입단가(Unit Price)를 절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재소요계획에서부터 발주, 생산, 물류 등 자재관리 업무 전반에 걸쳐 합리화와 최적화함으로서 총재료투입원가(Unit Cost)를 최소화해야 한다. 회사 여러 기능 가운데 특히 구매?자재관리분야의 업무절차가 매우 복잡하고 회사마다 다양하며 또한 공급사와의 관계도 얽혀있다. 그러므로 부정과 비리의 의혹도 많고, 리스크평가, 감사방법, 프로세스구축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1. 구매?자재부문의 업무 및 특성
(1) 업무상 현실 최근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국내 기업의 환경변화가 급변하고 있고, 특히 그동안 정보산업의 발전과 기술개발의 가속화로 인한 구매?자재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 환경변화에 따른 구매?자재부문의 현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구매 부문 ?신기술, 신제품, 신소재 개발의 가속화로 제품수명주기(PLC)의 단축가속 ?소비자욕구의 다양화로 다품종소량생산시스템요구 ? 원가 압박 가중 ?수요변동으로 인한 판매계획 및 생산계획 변동폭 증가 ?품질, 가격, 납기, 수량 등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더욱 까다로워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