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감가상각의 개요 1. 감가상각의 의의 2. 감가상각방법의 적용과 신고기한 Ⅱ. 감가상각자산의 범위와 범위액의 계산 1. 감가상각자산의 범위 2. 특정자산의 감가상각여부 3. 감가상각에서 제외되는 자산 4. 상각범위액의 계산 Ⅲ. 즉시상각의제 및 감가상각의제 1. 즉시 상각의제 2. 감가상각의 의제 Ⅳ. 감가상각시부인 및 시후관리 1. 감가상각시부인 Ⅴ. 기타 유의사항 1. 법인세법 기본통칙상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 관례사례 2. 예규상 고정자산의 감가상각비 관련사례
Ⅰ. 감가상각의 개요
1. 감가상각의 의의
(1) 기업회계상 감가상각규정 감가상각이라 함은 고장자산을 수익창출활동에 사용하여 수익을 얻는 기간에 당해 고정자산의 가액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에 의하여 비용으로 인식하는 원가배분과정이다. 따라서 기업회계에서는 다양한 감가상각방법을 허용하고 있으며, 내용연수와 잔존가액도 합리적인 추정에 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에서 실무적으로는 세법의 규정을 적용하여 감가상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