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사업결합 절차 II. M&A 진행방식 1. 공개경쟁입찰 2. 제한적 경쟁입찰 3. 개별 협상 III. 보안유지 방안 및 언론대응 1. 보안유지 방안 2. 언론대응방안 IV. 매각가치 극대화 방안 1. 내재가치 극대화 2. 시너지효과 산출방법 3. 거래구조상 가치의 극대화 방법 V. M&A거래과정 1. M&A거래구조 2. 거래가격 조정방식 3. 기업결합신고 4. M&A 진행절차 상 작성되는 문서의 종류 VI. 사후통합과정(PMI) 1. 거래실행단계 2. 거래종결 후 단계 VII. M&A시 고려할 TAX이슈 1. 주식의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2. 양도소득세 세율 및 고려대상 3. 주식양도 관련 조세특례제도 4. 기타 고려 사항
I. 사업결합 절차
(1) 전략수립 매수자와 매도자가 각각의 M&A 전략을 수립하고 검토하는 단계로 매수자는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분야가 무엇인지, 또한 해당 사업분야에 속하는 매물이 M&A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가 되는지 파악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최근 M&A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거래가격의 수준을 파악하고, 예상되는 인수대금의 규모 및 조달방식을 검토해야 한다. 매도자는 지금이 최적의 매각시점인지, 또한 높은 매각금액을 받기 위해 잠재적 매수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매각대상회사의 투자 강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수적이다. 추가적으로 성공적인 매각을 위한 내부 TFT 구성 및 외부자문사 선임절차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잠재적 매수/매도자 탐색 및 접촉 매수자는 M&A의 목적과 전략에 맞춰 잠재적 인수 대상 회사 리스트를 작성하고 접촉한다. 매도자는 매각대상회사의 재무정보, 기본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담은 Teaser Memo(TM)를 작성해 잠재적 매수자에게 제공한다. 다만 TM의 경우 매각대상회사의 실명은 드러내지 않고 일반적으로 Project 명으로 표기한다. TM 검토 후 투자 의향이 있는 잠재적 매수자들은 비밀 유지협약(NDA: Non-Disclosure Agreement)에 서명 후 인수의향서(LOI: Letter of Intent)를 제출함으로써 대상회사의 실명을 포함한 TM보다 많은 정보가 담긴 IM(Information Memorandum)을 제공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