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구조조정의 종류 1. (채권단)자율협약 2. 워크아웃 3. 법정관리 Ⅱ. 회생제도의 이해 1. 회생제도 개요 2. 회생제도의 목적과 필요성 3. 채권금융기관에 의한 구조조정과의 차이 Ⅲ. 기업회생과 인수합병(M&A) 전략 1. 기업회생 인수합병 개요 2. 기업회생과 가치평가 3. 기업회생과 인수합병(M&A) 전략
I. 구조조정의 종류
구조조정이란 부채가 과다한 재무상태 부실기업의 사업구조 및 재무구조를 개편하는 작업이다. 과거 정부는 해운과 조선, 철강과 건설, 석유화학을 구조조정 대상업종으로 선정했는데, 이들 산업은 대체로 경기 변동에 민감한 산업들로 위기의 원인도 성장둔화 등 세계 경제의 침체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세계 경기가 좋을 때 생산시설을 늘렸던 것이 세계 경제의 침체기인 지금은 공급과잉으로 돌아온 것으로, 공급이 많아지다 보니 출혈 경쟁은 심해질 수 밖에 없고, 재무구조도 악화됐다. 완전시장을 가정하는 경우 시장경쟁원리에 입각하여 적자생존의 논리에 따라 살아남을 수 없는 비효율적인 기업들은 신속성과 형평성 기준에 의하여 과감하게 퇴출시키는 것이 원칙이다. 비효율적인 기업의 퇴출은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가능하게 하여 사회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기업퇴출은 기업을 구성하는 인적, 물적요소 가운데 비효율의 원인이 초래되어 이를 효율적인 것으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경제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이 불완전한 현실 세계에서 재무적인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모두 비효율적인 기업이라고 단정할 수 없고, 한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회생가능한 기업은 오히려 재건의 기회를 제공해줌으로써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실상 파산상태지만 구조를 바꿔 계속 운영하면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기업에게는 구조조정이라는 선택지가 주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