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자본조달방법의 구분 1. 자본조달방법에 따른 자금구분 2. 자금조달방법에 따른 세무회계 Ⅱ. 지급이자 관련 세무조정 1.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2. 기타 지급이자에 대한 세무조정 3. 지급이자와 연계된 세무조정 Ⅲ. 자금과 예산 1. 매출계획과 자금계획 2. 원가분석과 자금계획 3. 기타 자금관리 Ⅳ. 세금의 납부관리 1. 법인세 2. 부가가치세
Ⅰ. 자본조달방법의 구분
1. 자본조달방법에 따른 자금구분
(1)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에 의한 자금조달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는 방법 크게 2가지가 있다.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타인자본(사채발행 포함)을 이용하는 방법과 내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자기자본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자본조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신규투자목적이거나 운영자금조달이 주목적을 이룬다. 신규투자에서 회사의 영업자산을 구입하거나 개발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자금에 대한 지급이자는 차입원가의 자본화를 통하여 자산으로 계상할 수 있다.
1) 타인자본조달 타인자본은 이자지급이 일정기간마다 이루어지며, 만기시에는 원금을 상환하여야 한다. 타인자본의 사용대가인 지급이자는 회계상으로 비용으로 인정되며, 신규투자목적의 차입금일 경우 회사의 자산으로 계상할 수 있다. 타인자본을 조달함에 있어서 회사의 담보력이 충분하거나 높은 신용도를 가진 경우 보다 낮은 이자율로 차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경기가 좋을 때 회사의 담보력 또는 신용도를 충분히 높도록 자금관리나 자산관리를 하여 경기가 불황일 때를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타인자본을 조달하는 또 다른 이유로 경영과의 분리이다. 즉, 자금을 대여한 자가 회사의 경영에 간섭을 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보다 독립적인 경영이 가능한 것이다. 자금상환과 이자부담을 하는 대신에 경영의 독립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