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화전략수립 Ⅱ. 기업사업화 환경의 변화와 전략경영 Ⅲ. 사업화계획이란 무엇인가? Ⅳ.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패요인과 지원제도 Ⅴ. 국내 기술이전·사업화 Ⅵ. 중소기업 사업화를 위한 효과적인 SEM 도입과 성공 원칙 Ⅶ. 사업화전략수립 - 기업수준의 전략 1. 기업수준의 전략 2. 다각화 전략 3. 수직적통합, 수평적통합 4. 글로벌전략 5. 퇴출 전략 6. 다각화 기업의 관리 7. 창업 벤처기업의 마케팅 전략 포인트 ~ Ⅷ. 사업계획 전략수립 1. 사업계획서 작성 2. smilor의 창업보육센터 성공요인 3.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의 성격요인 4. OECD의 창업보육센터 성공요인 5. 입주기업 측면의 성공요인 6. 벤처기업의 사업화 경영전략 7. 벤처기업의 역할 및 의의 8. 벤처기업의 특성 9. 벤처기업의 창업사업화전략 10. 벤처창업 사업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 20. 창업기업의 사업 타당성 분석 요소 21. 창업사업화 사업계획수립의 타당성 분석방법 22. 사업계획수립서 작성시 주요내용 및 사업화계획수립의 중요성 23. 사업(투자)계획서 작성시 고려사항 24. 창업사업 타당성분석이 필요성 25. 창업 신규사업 사업성 검토 및 분석 26. 사업성 분석의 기본 절차 27. 시장성 분석의 개요 28. 기술성 유무 사업타당성 분석 29. 사업계획서의 내용 30. 사업계획수립의 포지션 감사 31. 신규 사업성검토 (이번 호 게재분)
이번 호에는 신규 사업성검토 중 창업사업아이템 선택유형을 알아보았다. ①창업 희망 업종에 대한 정보수집 ②체험자 또는 종사자와의 면담 ③후보 사업 아이템의 구체적 정보 수집 등을 통하여 선택업종에서의 성공가능성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으면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창업컨설팅을 받아 보거나 각종 가상 창업업종 선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를 참고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