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기업회계의 구조 1. 기업회계의 주체와 대상 2. 기업회계의 계산구조와 이윤 계산 원리 3. 재산계산 사고로 부터 손익계산 사고 까지 Ⅲ. 동적 회계 이론과 기간손익계산(다음 호 게재분) 1. 동적 회계 이론에 의한 원가주의의 확립 2. 동적 회계 이론과 손익계산의 구조 Ⅳ. 유용한 의사 결정회계 1. 자금회계론과 회계정보이론의 전개 2. 경제적 편익(용역 가능성)과 회계개념의 변화 3. 유용한 의사결정회계와 장래적 경제 편익의 이론 구조 Ⅴ. 결론
기업회계의 계산 구조는 투하된 기업자본의 구체적 운동으로 부터 초래되는 현실의 실무를 일정의 방법에 기초한 계산 기술에 의하여 직접 내지는 간접으로 포착하여 해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 위에 이와 같은 기업의 실무가 제기하는 제문제를 일정의 원리에 의하여 해명하려고 하는 논리가 기업회계의 이론에 불과하다. 일정의 원리란, 투하 자본의 논리에 의한 이윤 계산 원리이다. 기업회계의 이론 구조는 그의 실무를 합리적인 방법과 일정의 계산 구조에 의하여 회계의 이론적 구축과 그의 체계화를 목표로 하여 온 것이다. 이번 호에는 현대 회계의 과제와 전망, 그 상편을 해설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