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차입원가 및 적격자산 1. 차입원가자본화의 논리 2. 적격자산 3. 차입원가의 범위 Ⅱ. 자본화 기간 1. 자본화의 개시 2. 자본화의 중단 3. 자본화의 종료 Ⅲ. 자본화가 가능한 차입원가 1. 적격자산과의 관련성 2. 적격자산에 대한 평균지출액의 산정 3. 특정차입금에 대한 자본화가능차입원가 4. 일반차입금에 대한 자본화가능차입원가 5. 차입원가 자본화에 대한 사례 Ⅳ. 외화차입금에 대한 자본화가능차입원가 1. 차입원가의 범위 2. 차입원가 자본화 3. 외화차입금관련 차입원가 자본화 사례 Ⅴ. 법인세법상 건설자금이자(차입원가자본화) 규정 Ⅰ. 차입원가 및 적격자산
1. 차입원가자본화의 논리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자산 및 취득이 개시된 날로부터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1년 이상이 소요되는 재고자산을 법인이 제조, 매입, 건설 또는 개발할 경우 동 자산이 실제로 업무에 사용되기까지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자금과 기간이 소요된다. 유형자산 등의 건설에 필요한 자금의 원천은 법인내부의 유보이익이나 새로운 주식발행에 의한 자금 또는 법인 외부로부터의 차입금일 수도 있다. 법인의 유보이익이나 주식발행자금의 경우에는 법인의 내재이자율에 의한 내재이자가 존재하며, 외부로부터의 차입금에 대하여는 이자가 발생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