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원가분석의 개념 1. 원가분석의 의의 2. 원가분석의 목적 3. 원가분석의 전제 4. 원가분석의 방법 Ⅱ. 원가왜곡 Ⅲ. 원가관리 Ⅳ. 원가추정 Ⅴ. 원가구조 Ⅵ. 원가정보 1. 재무적 목적의 원가정보 2. 운영적 목적의 원가정보 Ⅶ.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의 개념 1.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의의 2. 전통적원가계산과 활동기준원가계산의 구조 3. 전통적 원가계산과정 4. 활동기준 원가계산과정 5. 활동기준원가계산과 전통적 원가계산방법의 차이 6. 활동기준원가계산의 내용 7. 활동기준원가계산의 유용성 8. 활동기준원가계산시스템의 설계 9. 활동기준원가회계의 실행 10. 활동기준원가회계의 효과 및 한계
-------------------------------- Ⅰ. 원가분석의 개념 --------------------------------
1. 원가분석의 의의 원가분석(cost analysis)은 원가계산의 결과로 얻어진 원가계산자료를 분석·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즉 원가계산에 의해서 얻어진 원가계수를 기간적으로 비교하거나, 타기업의 원가계수 또는 표준원가계수와 자기기업의 원가계수를 상호비교하여 원가차이 및 원가변동의 정도와 그 원인을 분석·비교해서 검토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원가분석은 원가계산의 이용에 대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재무분석에서 대차대조표를 구성비율법에 의해서 자산구성비율과 자본구성비율 등을 산출해서 분석하는 절차와 같이 원가분석도 제품원가를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과 같이 원가요소별로 분해하여, 그 구성비율을 구하는 절차라고 정의하는 논자도 있다. 그러나 종합된 원가계수를 그 구성요소별로 분해하는 것만으로써는 그 기업의 원가를 파악 ? 검토해서 원가분석을 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절차는 원가분석을 하기 위한 준비절차라고 보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