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발생의 가능성」의 요건의 문제성 Ⅲ. IASC 개념 프레임 워크에 보이는 역할 구조의 체계 1. IASC 개념 프레임 워크의 구성 2. IASC 개념 프레임 워크에 있어서 역할 구조의 4국면 Ⅳ. IASC 개념 프레임 워크에 있어서 회계적 인식의 구도 1. 계산 구조의 기초적 가정 2. 재무제표의 질적 특성 3. 재무제표의 요소의 정의·인식·측정 Ⅴ. 「발생의 가능성」 규준의 조작성 1. 「발생 가능성」 규준을 분석하는 3개의 어프로치 2. 발생 확률에 기초한 인식 방법의 평가 Ⅵ. 「발생의 가능성」 규준의 질적 변용 Ⅶ. 결론
------------------------------ Ⅰ. 서론 ------------------------------
FASB의 SFAC5호에 있어서 인식이란, 어떤 항목을 자산, 부채, 수익, 비용 또는 그것에 유사한 것으로서 정식으로 기록하든가, 혹은 재무제표에 조입하는 프로세스인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FASB [1984], par.6) 이와 같은 인식의 프로세스에 있어서 규준으로서 「정의」, 「측정 가능성」, 「목적 적합성」, 「신뢰성」이라고 하는 4개의 규준이 제시되고 있다.(FASB [1984], par.63)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이라고 하는 인식의 요건은 FASB의 경우는 재무제표의 요소의 정의 가운데에 그것이 편입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산은 「과거의 거래 또는 사상의 결과로서 특정의 실체가 획득 또는 지배하는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장래의 경제적 편익이다.」고 정의되고, 이의 정의를 만족시키는가 어떤가가 인식의 판단의 하나의 스탭으로서 되고 있다.(FASB [1985], par.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