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는 글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의 태동 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정의와 가치논쟁 Ⅱ. 사회적 책임의 국내 및 국제적 이슈의 부각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규범준수의 필요성과 중요성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적 이슈화 Ⅲ.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활동 전개를 위한 논의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활동의 가치증대를 위한 논의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3대 범위등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ISO 26000)규범의 구성원칙등 4. 국내 및 외국의 사회적 책임경영체제의 구축사례 5. 사회적 책임을 위한 국제규범에 대한 대응전략 Ⅳ. 맺는 글
기업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대한 의무를 져야 한다. 그 부담의 범위에 있어서도 그동안 가장 강조되어왔던 환경분야만이 아니라 경제적 분야, 법적분야, 사회적 분야, 공공성을 지는 책임까지로 확대될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올바른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회적 책임의 정의와 개념, 변천과정, 향후 국제적 공조의 전개방향, 이러한 경향에 대한 기업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해설하였다.
Ⅰ. 들어가는 글
기업은 활용가능한 자원을 통해 수익의 추구와 사회적 역량을 극대화하려는 경영활동을 끊임없이 추구한다. 이러한 수익추구을 해 나가는 경영활동 과정에서 싫든, 좋든간에 기업은 경영활동에 대한 책임을 부담해야 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기업은 또한 경영활동의 결과에 대하여 국가와 주주, 노동조합, 금융기관, 경쟁기업, 기업의 상품을 직, 간접으로 구매하거나 소비하는 고객에 대해서도 책임과 의무 그리고, 상도의적인 윤리적 부담도 감내해야 한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기업이 경영활동상 준수해야 할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준도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에 비추어 예상되는 것은 기업이 부담하고 준수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했던 전근대적인 경영활동으로는 더 이상 기업의 영속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사회적 변화가 강하게 요구된다는 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문제를 받아들일 구체적인 계획수립과 준비를 해야 한다고 본다.
앞으로 기업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담의 범위에 있어서도 그동안 가장 강조되어왔던 환경분야만이 아니라 경제적 분야, 법적분야, 사회적 분야, 공공성을 지는 책임까지로 확대될 전망이다. 본 주제에서는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올바른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회적 책임의 정의와 개념, 변천과정, 향후 국제적 공조의 전개방향, 이러한 경향에 대한 기업적 차원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향후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올바른 방향성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활동과 사회적 책임에 대하여 실제적 활동을 전개할 것인가를 고민하는데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의 태동 기업이 준수해야하는 사회적 책임이란 개념은 1953년 Bowen의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책이 출판된 이후, 학문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데서 개념적 기원이 태동하게 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 세상의 관심을 받게 된 대표적인 사건은 1952년 ‘A.P 스미스사’ 對 ‘바로우(Barlow)’ 간의 소송사건이다. 그 사건의 내용을 요약하면, 주주들에게 돌아가야 할 이익을 기업이 일방적으로 대학에 기부했다며 제기한 소송에서 미국의 뉴저지 법원은 기부행위가 기업의 직접적인 이익과 무관하지만, 사회적 책임의 범주내에 이루어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판결함으로써 미국 기업들로 하여금 사회적 기부활동에 대한 관심을 갖게 만드는 계기 되었다. 본 사건을 계기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미국사회를 중심으로 본격화되었고, 기업이 당연히 행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활동이 경영활동의 한 분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