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KPMG 삼정회계법인 근무(전) 삼경회계법인 근무(전) 미래회계법인 근무(현) TEL. 031-259-6363
Ⅰ. 내부감사계획의 필요성 1. 내부감사계획의 의의 2. 감사계획의 효과 Ⅱ. 내부감사계획서의 작성 Ⅲ. 내부감사의 실시 1. 현장감사 2. 감사조서의 작성 3. 감사강평실시 Ⅳ. 내부감사보고서 및 사후관리 1. 내부감사보고서 개요 2. 내부감사보고서 작성 3. 내부감사의 사후관리
Ⅰ. 내부감사계획의 필요성
1. 내부감사계획의 의의
내부감사인은 감사를 효율적이고 시의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감사업무의 적절한 계획수립은 감사시 중요한 부분에 대하여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게 하고, 잠재적인 문제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감사업무를 신속히 완료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감사계획의 범위는 회사의 규모, 감사업무의 복잡성 그리고 내부감사의 회상 대한 경험과 회사의 사업에 대한 이해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회사의 사업에 대하여 이해를 하는 것은 감사업무의 계획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회사의 사업에 대한 이해는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 거래 및 실무관행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준다.
감사계획은 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감사계획은 상황의 변동과 예상되지 아니한 감사절차의 결과 때문에 감사업무의 진행중 계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된다. 내부감사인은 중요한 감사계획 변경사항에 대한 이유를 문서화 하여야 한다. 내부감사인은 다음과 같이 연간감사계획과 개별감사계획으로 나누어 감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1) 연간감사계획 내부감사인은 매년 기업의 경영목표와 연계하여 연간 감사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는 회계연도 개시에 앞서 결정된 감사방침을 기초로 하여 한정된 자원과 제한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감사를 시행하기 위한 것이다. 연감감사계획은 최고경영자나 감사담당임원의 승인을 받는 것이 통례이다. (2) 개별감사계획 연간감사계획을 바탕으로 실제 감사를 수행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감사방향을 설정하고 감사자원을 할당하는 등 감사준비를 하기 위해 개별감사계획을 수립한다. 감사의 실시에 있어 월별로 또는 감사대상별로 감사실시의 구체적인 계획내용을, 감사의 범위, 방법, 절차, 일정, 장소, 담당자 등에 대하여 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