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개요 Ⅱ. 주요 계정별 결산정리사항 1. 유동자산 2. 투자자산 3. 유형자산 4. 무형자산 5. 유동부채 6. 고정부채 7. 자본금 8. 자본잉여금 9. 이익잉여금 10. 매출손익 11. 판매비와 관리비 12. 영업외수익 13. 영업외비용 Ⅲ. 장부의 마감
---------------------------------- Ⅰ. ☆ 개요 ----------------------------------
결산조정분개를 위해서는 실무상으로는 결산지침이라는 문서를 통하여 본사는 각 지점이나 영업소에 결산처리의 방법을 지시하고 각 지점이나 영업소로부터 자료를 송부 받고 본사에서 이들을 취합하여 결산정리사항 요약표를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결산정리사항 요약표는 달리 표현해서 재고조사표라고도 불리워지는 것인데, 이는 결국 기간손익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계정정리를 한 표에 종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사가 결정해야 하는 결산정리사항은 다음과 같다.
---------------------------------- Ⅱ. ☆ 주요 계정별 결산정리사항 ----------------------------------
1. 유동 자산 (1) 현금 및 현금등가물 ① 현금에 관한 결산정리 사항의 특색은 현금관리를 중심으로 한 정리이다. 세무조사에서도 이 점에 관한 검토가 특히 중요시되고 있다. ② 현금출납장의 기말잔액과 현금시재액이 불일치할 때에는 현금과부족 계정에 의하여 기말 정리한다.(현금과부족처리 =>잡이익, 잡손실) ③ 도난 또는 분실된 현금의 처리 => 관할경찰서의 증명 => 잡손실 처리 ④ 실사에 의하여 기말잔액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⑤ 가지급메모는 현금의 간이차용증이므로 이것이 남용되면 현금관리제도가 불합리하게 된다. 세무조사에 있어서도 이러한 가지급메모에 대해서는 인정상여 등의 처분을 하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현금출납제도에 대한여 의심받을 우려가 있다. ⑥ 기말잔액의 적성성을 확인하고 통장, 은행계정잔액증명서 등과 대조한다. ⑦ 이자수익의 계상기준에 의거하여 이자계상에 오류의 유무 및 계속적용 여부를 검토한다. ⑧ 통장을 은행에 늦게 제출하면 이자수익의 기장이 늦어지고 따라서 이자수익계상 누락의 원인이 된다.
... 이하 첨부 파일 참조.. |